누구나 꿈꾸지만 실제 실해하기는 쉽지 않은게 있습니다.
바로 퇴사입니다.
퇴사 생각을 하면 퇴직금이 얼마나 될까 궁금하기 마련입니다.
퇴직금과 관련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겠습니다.
1. 퇴직금 지급기준
퇴직금은 퇴직 시점에서 근로자가 고용주로부터 받는 일시금으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퇴직금은 퇴사 이후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 기간 내에 지급되지 않으면 지연 이자로 추가 금액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1)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근로자의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퇴직금 = (평균임금) x (근무연수) x (30일)
여기서 평균임금은 근로자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된 일평균 임금을 뜻 합니다.
근무연수는 근로자의 총 근무 기간을 말하고, 이때 소수점 첫째 자리는 반올림합니다.
정확한 금액은 퇴직금 계산기 등을 활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퇴직연금제도
일반적인 퇴직금 수령 대신 퇴직연금제도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퇴직연금제도는 DC형, DB형, IRP(개인형 퇴직연금)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각각의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재정 상황과 미래 계획에 맞춰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퇴직금 수령방법
퇴직금은 IRP계좌에서 수령이 가능합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예시> 만 55세 이후 퇴직, 퇴직금이 300만원 이하 등)
해당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다면 IRP 계좌를 만드시고, 해당계좌를 회사에 제출하고 난 후에, 해당 계좌로 수령하시면 됩니다.
해당 계좌를 해지후에 수령을 할지, 아니면 55세까지 추가 납입을 하거나 유지를 하실지는 개인의 자금사정과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연금수령 절차 및 유의사항이오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IRP 계좌 해지를 해야지만 인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IRP 계좌 중도인출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중도인출 사유는 다음과 같으며, 사유에 따라서 세율이 상이합니다.
3. 퇴직금 세금
퇴직금은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를 퇴직소득세로 라고 합니다.
퇴직소득세는 퇴직소득금액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돼 계산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소득세는 퇴직소득금액에 적용되는 세율을 통해 산출됩니다.
퇴직소득금액은 퇴직금에서 비과세 금액과 공제액을 뺀 금액입니다.
이때 공제액은 퇴직 연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요.
퇴직소득세 = (퇴직소득금액) x 세율 - 공제액
이상으로 퇴직금 지급기준, 퇴직금 수령방법, 퇴직금 세금과 관련해서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X지수, 공포탐욕지수 (0) | 2024.08.07 |
---|---|
미성년자 증여세 (0) | 2024.07.20 |
아름다운 가게 옷 기부(feat. 안 입는 옷 기부하고 기부영수증 받기) (0) | 2021.11.11 |
헬로모바일 셀프개통 후, 11개월 사용 후기(feat. 프로모션가 적용해서 요금제 변경하기) (0) | 2021.11.04 |
직장인 현실적인 앱테크 (feat. 앱테크는 짤짤이 인가?)(2021년 2/4, 3/4분기 정리) (0) | 2021.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