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9

2024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조회 청약공고문을 보면 보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해당 단어와 관련하여, 어디서 조회하는지, 내소득은 어떻게 조회하는지 등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작성합니다. 1.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해당 자료는 우선 KOSIS 국가통계포털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에서 가구원수별, 근로자 가구수의 소득을 보시면 됩니다. 데이터가 연도별로 나와 있는 것이 아니라, 분기별로 나와서 산출하셔야 합니다. 해당 자료를 근거로 산출해서 사용하고 있는 기관의 공고문을 참고하시는게 좋습니다. 2. 2024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2024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은 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보.. 2024. 7. 2.
난임 시술 중단 의료비 지원 얼마전에 책자를 보다가전국 최초 난임 시술 중단해도 의료비 지원해요~(경기도)  라는 글과 함께 난임 시술 중단 의료비 지원이 있길래 슥~ 보고 넘어갔는데, 제가 이 대상이 될 줄이야..ㅎㅎㅎ 어이없기도 하고 당황스럽기도 해서 혜택?!을 받은 후기를 적어봅니다. 0. 시험관 1차 실패 과정저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통해, 인공수정 2차 실패 후에 시험관을 하게 되었습니다.  신선배아 1차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신청하고 시험관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벤폴라, 퓨레곤을 고용량으로 처방을 받았는데, 왼쪽과 오른쪽이 성장속도가 달라서 한 회차에 2번 채취를 하게 되었습니다.  왼쪽 1개를 먼저 채취를 했는데 공난포가 나왔습니다.  그 이후에는 폴리트롭을 처방을 받고, 4~5개 정도를 채취하기로 하고 또 .. 2024. 6. 27.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난임인가 병원을 가봐야하나 하면서, 난임병원을 알아보다보면, 근데 뭐 혹시 지원받을수 있는게 없나? 고민이 됩니다.물론 저도 그랬기때문에 제가 찾아봤던 걸 기준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0. 난임이란? 저는 난임의 정의는 따로 못 찾았었는데,다시 한 번 찾아보니, 모자보건법상에서 난임의 용어의 정의가 되어 있더라고요,  난임이란 부부(사실상 혼인관계 있는 경우 포함)가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부간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고 합니다.  법상에서는 그렇지만, 보통은 6개월/1년을 보는것 같기는 합니다.  0-1. 난임지원 우선 크게 난임과 관련해서 지원이 되는 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인공수정, 신선배아, 동결배아) 이 있고, 각 지자체별로 .. 2024. 6. 26.
병원 신분증 지참 의무,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5월 20일부터 병원 진료시 신분증 지참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저는 난임병원을 다니고 있어서 사실 항상 신분증을 가지고 다니느라 크게 자각은 없었지만, 예전에 진료 보던 병원에서 문자로 별도로 발송해 주는 것을 보고서 이제 무조건 의무적이구나 싶었습니다. 1.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병, 의원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진료를 받을 때는 무조건 신분증 등으로 본인 확인을 거쳐야지만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진료시에 별도의 본인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주민등록번호 등을 제시 받아 진료 등을 수행하여 건강보험 무자격자가 타인 명의를 도용하여 해당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해당 제도를 시행하게 된 배경이라고 합니다. 2. 본인 확인이 가능한 수단 본.. 2024. 5. 22.
반응형